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6)
커링 함수란 무엇일까?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커링 함수에 대한 내용을 많이 접했다. 커링 함수는 인자를 단 하나만 가지는 함수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커링 함수라는 방법 자체는 대단한 것이 아니다. 함수에 함수를 중첩하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하지만 가독성 측면에서 어마무시한 리턴이 있다. 메소드 체이닝, 람다식 등 다양한 가독성 높은 표현 방식이 단 하나의 메소드만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커링 함수는 그런 표현 방식을 지원한다. f(a, b, c) => f(a)(b)(c) 인자가 여럿 있는 함수를, 하나의 인자를 가진 여럿 함수로 나누는 것. 그런 표현 방식을 가진 함수를 커링 함수라고 한다. 정말로 가독성이 높을까? 적어도 나는 다음과 같은 표현 방식을 보고 정말 읽기 편하다고 생각했다. ge..
SQL 기본 문법 자주 쓰는 SQL 문법 SELECT - extracts data from a database UPDATE - updates data in a database DELETE - deletes data from a database INSERT INTO - inserts new data into a database CREATE DATABASE - creates a new database ALTER DATABASE - modifies a database CREATE TABLE - create a table ALTER TABLE - modifies a table DROP TABLE - deletes a table CREATE INDEX - creates an index (search key) DROP INDEX -..
SQL 배경 지식 기본 용어 SQL = Structured Qurery Language = 구조화된 질의 언어 DB = DataBase = 통합되어 관리되는 자료의 집합체 DBMS = DataBaseManagementSystem = DB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Transaction = DB의 작업을 처리하는 단위 순서 = FROM - ON - JOIN - WHERE - GROUP BY - WITH CUBE/ROLLUP - HAVING - SELECT - DISTINCT - ORDER BY Record = Row = Tuple = 행 Field = Column = Attribute = 열 Table = Record와 Column으로 구성된 자료 저장 단위 Data = 수, 영상, 단어 등의 형태로 가공된 의미 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