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6) 썸네일형 리스트형 Integer는 왜 String과 달리 사용빈도가 적을까? 문자는 char 대신 String을 사용하는 것이 왜인지 몰라도 당연하다는 듯이 사용한다. 반면에 int, long 등 사실상 문자를 제외한 값은 wrapper class 대신 primitive type을 사용한다. 왜 그럴까? 문자열은 쉽게 유추가 가능하다. 너무 활용할 곳이 많은 것이다. 또한 Null 값을 처리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 primitive typed은 Null 값을 처리할 수 없다. 반면에 숫자는 단순 사칙연산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필수값은 반드시 입력하라고 설정하는 경우도 많아서 Null 값에 대한 걱정도 적은 편이다. 굳이 wrapper class를 사용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 운영자가 컨텐츠를 코드가 아닌 UI를 통해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비개발자가 컨텐츠를 관리한다는 가정 하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이므로 직관적이고 용어또한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현업에서는 DB에 데이터를 저장하느냐, CMS에서 관리하느냐 등 하드코딩이냐 동적으로 값을 받아오느냐에 따른 작업량 이슈가 존재한다. CMS에 작업을 한다는 것은 대부분 하드코딩으로 값을 할당하는 것을 의미하는 듯하다. 정유사 같이 한 번 만들어두면 딱히 데이터를 바꿀 일이 없는 경우라면 CMS에 데이터를 넣어두는 경우가 흔한 듯하다. 반면에 쇼핑몰처럼 유동적이고 정보량이 많다면 db에서 관리하는 것이 유용하다. IA라는 단어를 많이 들었다. IA로 작성하시죠? 이런 말을 여러 번 듣고, 메일을 확인하면서 IA라는 단어도 목격했다. 여러 번 듣게 되니 자연스럽게 호기심이 생기기 마련. 무엇인지 찾아봤다. Information Architecture. (IA). 정보 구조도라고 표현하며, 웹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도이며 쉽게 말하자면 서비스 목차다. 기획 단계에서 어떤 기능이 존재하는지 파악할 때 사용한다. 이걸 기반으로 구현해야할 서비스의 목록이 구체화된다. 기획자와 일을 한다면 적어도 어떤 용어인지 알아두는 것 정도는 좋을 정도로 자주 듣는 단어다. 두 번째 SI 프로젝트 이번에는 개발 초기부터 합류했다. 간단한 기술을 사용하되 작업분량이 많다고 한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합류했는데 이게 나에게 도움이 될지 아닐지 궁금하다. 네아로 간단하게 알아보기 간편로그인 기능을 구현해야 하는 업무가 주어졌다. 지금 당장 구현할 바는 아니지만, 곧 업무가 할당되면 일이 시작될테니 미리 알아둬야 편하다. 특이하게도 해당 기능을 네아로라고 표현하더라...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하기) 처음에는 네아로 네아로라고 말씀하시는데 뭔 소린지 하나도 몰랐다. *. 네아로는 정확하게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인가? 편히 간편로그인이라고 칭하지만, 실제로 그게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지는 못했다. 데이터는 어디서 받아오지? 받은 데이터는 우리 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건가? 아니 그 전에 인증됐다는 Yes / No 데이터만 넘어오는 건가? 궁금하다... 문서를 보자. 네이버 로그인 서비스는 네이버가 아닌 다른 서비스에서 네이버의 사용자 인증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자바 직렬화 & 역직렬화 직렬화 Serialize Java Object / Data 형식을 외부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byte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술 JVM 상의 Heap / Stack 메모리에 상주되어 있는 객체 데이터를 byte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 역직렬화 DeSerialize byte 형태로 변환된 데이터를 Object / Data 형태로 변환시키는 기술 직렬화된 byte 형태의 데이터를 자바 객체로 변환시켜 JVM 메모리에 상주시키는 기술 직렬화 조건 및 방법 java.io.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객체만 직렬화 가능 java.io.ObjectOutputStream 패키지를 활용하여 직렬화를 진행 역직렬화 조건 및 방법 직렬화된 객체를 import 해야한다 직렬화된 객체의 .class .. Lombok, @RequiredArgsConstructor란 무엇인가? 롬복을 사용하면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어노테이션 세 가지를 마주했을 것이다. @NoArgsConstructor @Requried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1번과 3번은 간단하다. 아무런 내용이 없는 기본 생성자를 만드는 것과, 모든 필드를 포함하는 생성자를 만드는 어노테이션이다. 하지만 2번은 제목만 봐서는 해석하기 어렵다. 요구된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공식 페이지를 참고해야 했다. @RequiredArgsConstructor RequiredArgs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정의해야 한다. 롬복 공식홈페이지에서는 두 가지 요소를 RequiredArgs라 칭한다. non-initialized final fields @NonNull fields 즉, Require.. Gson을 왜 사용하는 걸까? 흔히 사용할 수 있는 org.json 라이브러리가 존재한다. 하지만 gson 라이브러리를 많이들 사용한다. 왜 사용할까? 뭐가 다른걸까? 단순히 직렬화 기능이 있는 게 전부 아닌가? 이런 의문을 가지고 Gson을 사용하는 이유를 찾아봤다. 다양한 블로그를 봤지만 명확한 답변을 한 곳은 딱히 없었다. 해답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gson 깃허브에 적혀있었다. Gson 깃허브 1. 왜 GSON을 사용하는가? 더보기 There are a few open-source projects that can convert Java objects to JSON. However, most of them require that you place Java annotations in your classes; something th.. JSON 요약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자바스크립트에서 Parsing 및 Serialize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으며 작성하는 방법도 간편하다 소프트웨어에서 Parsing 및 생성도 쉽다 구조화된 데이터를 직렬화하여 이를 네트워크에서 교환할 때 사용한다 보통 서버 - 웹 어플리케이션 간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한다 JSON 데이터 유형 String { "string" : "value" } Number { "number" : 123 } Boolean { "boolean1" : true, "boolean2" : false } Null { "null" : null } Object { "object" : {"key": "value"} } Array.. 자바에서 원본과 복사본을 표현하는 방식 다른 언어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자바에서는 두 가지 방식으로 원본과 복사본을 표현하는 것 같다. 공식은 아니지만 관례적으로 그렇게 쓰는 것이니 이런 용어를 보면 from - to 이것과 같다고 보면 될 것 같다. 1. source - target 어디에서 어디로를 표현할 때, 어디에서 파트를 source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또한 어디로 파트를 target이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그래서 target만 보인다면 해당 클래스에 직간접적으로 관여를 하는 source에 해당하는 파트가 존재하는 것이다. 2. from - to 직접적으로 표현할 때 이렇게 표현하고들 한다. 말 그대로 from (어디에서) to (어디로) 라는 말이다. 개인적으로는 source - target 보다는 명확하다고 보지만, fr..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