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6)
XML 간단하게 알아보기 - 0 Maven부터 시작해서 legacy spring의 설정은 대부분 xml 형식으로 만든다. 단순히 읽을 정도만 알아도 별 문제는 없지만, 설정파일을 직접 제작하고자 한다면 어느정도 xml 제작까지는 알아야겠다는 마음가짐에 기초부터 알아보기로 했다. 단, 필요없는 걸 다 알 생각은 없고 핵심만 간추리도록 하겠음! XML 선언하는 방법 XML 각종 용어 설명 기존 XML 문서를 읽는 방법 (주로 스프링, 자바 관련된 문서)
SDKMAN 활용하여 JDK 버전 관리하기 JDK 버전 관리가 필요한 경우가 존재한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자바 버전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생긴다. 개별 프로젝트 스페이스 마다 다른 자바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JDK 버전을 IDE 기능을 통해서 각 프로젝트 단위로 설정하는 방법도 존재하지만, SDKMAN 기능을 활용하여 JDK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그 외에도 개별적으로 공부하는 컴퓨터에서도 기본 프로그램을 돌리기 위한 자바 8, 11을 사용하다가 최신 기능을 익히기 위해서 자바 17을 사용할 필요도 있다. 이런 다양한 경우의 수를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JDK 버전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 자체는 매우 유용하다고 본다. Chocolatey 설치하기 SDKMAN 프로그램은 자..
Reader 클래스 이것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자 스프링 MVC 쇼케이스를 확인하다가 낯선 객체를 확인했다. public String requestReader(Reader requestBodyIs) Reader 클래스는 당최 무엇을 하는 녀석인고...? 생전 처음 보는 클래스에 당황했다. 들어가서 살펴보니 read() 메서드가 매개변수만 달리하여 여럿이 존재했다. 무엇인가 읽는 것인데... 키워드를 잡은 순간 생각을 멈추고 구글 신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자 연관 검색에서 InputStream 객체가 등장한 것을 보고, 아 입력을 받는 객체구나하고 깨달았다. 하지만 실제로 저 녀석을 쓴 것을 본 적이 없다. 비슷하게는 BufferedReader 클래스는 알고 있는데, 해당 객체의 원형에 해당하는 녀석인가? 찾아보니 실제로 그랬다. 여태껏 몰랐는데, R..
프로그래머는 뭐하는 직업인가? 프로그래머는 도구를 사용하여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는 작업을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파고 들어서 코어 엔진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사람을 프로그래머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사람만 프로그래머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SVN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자 기업 정책상 Git 대신 SVN을 활용하여 버전관리를 진행한다고 한다. 기본적인 용어와 사용법을 알 필요가 있어서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핵심! commit Local to Repository 로컬 파일을 원격 저장소의 최선 버전으로 갱신 update Repository to Local 원격 저장소에 로컬 파일을 올려서 버전 갱신 성공 시 리비전 증가 중요! Checkout 원격 저장소의 파일을 로컬 환경으로 내려받는다 Synchronize with Repository 동기화 Repository Local 소스를 동일하게 맞춤 용어 Repository 최종 소스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곳 Local 개발자 개인이 작업한 워킹 스페이스 trunk 안정화 버전 소스가 저장되는 디렉터리 branches 개발용 버전..
HTML id와 class 차이점 기능상 차이는 없다. 중복이 가능하냐 마느냐 이게 핵심이다. css에서 하나의 값을 여러 html 요소에 적용하고 싶다면 하나의 class로 엮으면 된다. 반면에 확실한 유일성이 필요하다면 id로 확실한 구분을 지어준다. 간단한 예시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능하다. first-name last-name .name { font-family: sans-serif; border: 1px solid #eee; border-radius: 2px; padding: 20px 30px; margin-top: 1em; margin-bottom: 40px; user-select: none; overflow-x: auto; } #last-name { font-size: 16px } #first-name { font-size:..
BI란 용어를 들어봤다 무언가 열심히 일하는데 개발자는 아닌 분들이 보이길래 궁금증이 생겼다. 저 분들은 어떤 업무를 하는 걸까? 선임에게 물어보니 그분들은 BI 파트를 담당하는 분들이라고 하셨다. 연봉도 강력하다고...! 듣다보니 결국 BI가 뭔지 궁금해졌다. B.I. = Business Intelligence 비즈니스 과정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수집, 가공, 분석하여 '성과'에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프로세스를 강구하는 방법 찾아보니 몸값이 높은 이유를 알 수 있었다. 간단하게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가 성과로 이어졌는지 알아내고, 그런 데이터를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체계화하는 작업을 하는 분들이었던 것이다. 수많은 데이터 중 성과로 이어지는 데이터를 찾는다면 선택과 집중이 가능해진다. 집중할 때 프로세스를 체계화한다면 ..
Build 명령어는 무엇을 하는 것일까? Build 명령어를 입력하면 결과물이 출력된다. 실질적으로 Build는 Compiler에게 Compile을 하라고 지시하는 명령어다.
리액트 변수에 중괄호 {}는 왜 붙는 것일까? 해당 문법은 리액트 이전에 ES6 문법을 찾아보면 답이 나온다고 한다. (아직 보지 않았다... 잇힝) 참고 키워드: destructuring assignment 리액트를 보면, 굳이 리액트가 아니더라도 자바스크립트 기반 라이브러리를 보면 변수에 중괄호를 활용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그 이유를 간단하게 알아보자. const { monkey, handsome_guy } = withDance 위 변수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const monkey = withDance.monkey const handsome_guy = withDance.handsome_guy 이미 withDance 라는 state 내부에 monkey, handsome_guy 요소가 있고, 그 요소를 각각 monkey, hands..
XML 간단정리 HTML 같은 markup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명세하는데 HTML 형식이 적합하지 않음 W3C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한 마크업 언어다. XML 작성 순서는 문서유형 선택 문서 분석 DTD 작성 XML 문서 작성 Style Sheet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