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6) 썸네일형 리스트형 strcmp() 같은, 0과 1을 반환하는 함수를 이용한 테크닉 어떤 값이, 프로그래머가 생각한 값이 맞는지 확인하는 수없이 많은 함수가 존재한다. 간단하게 true / false로 값을 반환하는 경우도 많지만, 일부 함수는 0과 1, 혹은 -1과 0, -1과 1등 숫자를 이용하여 값을 검증하는 경우도 많다. TRUE / FALSE를 이용하는 함수는 그 자체로 매우 직관적이라서 따로 눈여결 볼 건덕지가 없다. 하지만 숫자를 반환하여 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함수는 몇 가지 테크닉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TRUE는 1, FALSE는 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어떤 값을 검증하는 함수가 0과 다른 숫자를 반환한다면, 오히려 ! 헥사고널 아키텍처 간단하게 알아보기 이직을 준비하면서 느낀 점이, MSA 구조와 헥사고널 아키텍처 및 클린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도를 상당부분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MSA는 다양한 자료와 책을 가지고 그 사상과 간단한 구현 방법은 익혔지만, 헥사고널 아키텍처는 달랐다. 그래서 헥사고널 아키텍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이 글을 적었다. 가장 많이 참고한 글은 아래 블로그의 글이다!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port-and-adapter-architecture/ 1. Port And Adapter Architecture(PAAA) 헥사고널 아키텍처는 별명이었다. 실은 포트 앤 어댑터 아키텍처를 그 모습 그대로 부른 이명에 불과했다. 그렇다면 이를 PAAA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1.1. 포트가 .. 독특한 SQL 사용방법, WHERE 0 = ? SQL을 보다 WHERE 절에 특이한 조건을 넣는 패턴을 보게 됐다. SELECT * FROM TABLE WHERE 0 = ? 이런 패턴이다. 도대체 왜 0을 넣을까 생각을 하고 고민도 많이 해봤지만, 해답은 간단했다. 내가 작업 중인 프로그램에서는 보편적으로 0, 1을 사용하여 성공실패를 나타내기 때문이었다. 0 = ? 이 TRUE라면 어떤 조건을 실패했을 경우 성립되는 조건이라는 것이었다. 너무 어려웠는데 밥 먹고 차분히 생각해보니 바로 답이 나와버렸다... 역시 사람은 휴식이 필요해!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