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6) 썸네일형 리스트형 갑자기 데이터의 흐름이 보인다...!? 평소처럼 작업을 하는데 어느정도 문법이나 툴에 익숙해졌기 때문일까? 보다 효율적으로 일하려고 이미 작업한 것은 복사하고, 비슷한 부분은 수정하고 하면서 진행을 해봤다. 여태까지는 최대한 익숙해지려고 복붙 보다는 생각하면서 조금이라도 적어보려고 했지만, 이제는 딱 보면 어떤 데이터가 어디에 담겨있는지 상상이 갔다. 상당히 놀랐다. 여태까지는 이 경우에는 데이터가 어느 라인에 있겠지 이런 것은 머리가 아팠는데 자연스럽게 그런 것이 보였다. 그래도 자만은 금물! 이런 생각에 최대한 작업을 마무리하고 테스트까지 만들어서 돌려봤다. 놀랍게도... 한 방에 통과한 테스트가 8개 중 6개였다. 나머지 2개도 연관된 객체를 잘못 설정해서 그런 것이어서 그런 것이었다. 바로 수정하니 완성! 그리고 그 작업을 하고 살짝 .. 드디어 암복호화 기능을 사용해봤다 프로젝트에서 여태까지 암복호화 기능을 적용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최근 표준이 정립됐는지 암복호화 기능을 추가하라는 공지가 내려와서 적용을 해봤다. 내가 생각했던 방식은 spring security에서 적용한 것처럼 인터셉터가 도중에 값을 가져가서 암복호화를 진행해서 로직 파트에서는 신경쓰지 않는 방식이었다. 프로젝트에서 적용한 방식은 다소 달랐다. 실제로 controller에 해당하는 영역에 암호화, 복호화에 관련된 코드를 작성했다. 퇴근하고 검색해보니 알았는데, SHA256.java, BCrypt.java를 활용하는 방식과 매우 흡사한 것 같다. 참고한 블로그는 다음과 같다. 패스워드 암호화하기 - MyBatis 이용하기 [SPRING] 패스워드 암호화하기 -Mybatis 이용하기 0. SHA256.j.. SQL을 표현하는 방식은 통일해야 하는가? SQL은 오랫동안 쓰인 기술치고는 표준화된 표현 방식이 없는 요상한 기술이다. 표현 방식이라는 건, 기술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말 그대로 SQL 문체(?)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SELECT 뒤에 오는 컬럼을 아래에 적느냐 옆에 적느냐 이런 차이도 있고, 쉼표를 끝에 적느냐 맨앞에 적느냐, 쉼표를 맨 위 컬럼의 바로 아래에 적느냐 아니면 컬럼의 두 칸 앞에 적느냐, 이런 자잘한 문체들 말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 깊이 생각한 적은 없었다. 일반적으로 DB Tool에서 제공하는 자동완성 기능을 최대한 활용했다. 그런데 오늘 DB Tool에서 제공하는 문체는 지양하라는 말을 들었다. 회사에서 SQL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작성하라는 말이었다. 쉼표는 컬럼 앞쪽 두 칸, 소괄호는 윗 컬럼과 맞추고, SELECT 부터 ..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9 다음